
지식과 정보의 평준화
지식이란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하여 알게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를 말하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알고 있는 내용이나 사물을 뜻한다. 정보는 관찰이나 측정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실제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지식이란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하여 알게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를 말하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알고 있는 내용이나 사물을 뜻한다. 정보는 관찰이나 측정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실제 문제에 도움이 될 수…
플랫폼(platform)이란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기차역을 대신해서 플랫폼 비즈니스가 우리 산업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인공지능을 앞세운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공유경제가 핵심 키워드이다. 요즘 새롭게 등장한…
누구나 독서가 좋다는 것 쯤은 안다. 그런데 막상 독서를 하자고 하면 슬금슬금 뒷꽁무니를 뺀다. 왜 그럴까? 갑자기 그게 궁금해졌다. 그건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이유는 우리는 어릴적부터 시험을 잘…
신중한 성격이 잘못은 아니다. 매사 치밀한 계획을 세워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은 드물다. 생각없이 덜컥 실행 했다가 혹시 잘못되지 않을까 노심초사 하는 사람들이 주변에 의외로 많다. 매뉴얼을 따라 차분하게 절차를 밟아…
코로나19가 생각보다 오래 우리 곁을 머물면서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실로 지대하다. 설마 또는 혹시나 하면서 지내 왔는데 이러다 올해는 그냥 휙 지나가고 내년까지 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분위기가 점점 나빠지고…
지금은 바야흐로 휴먼 네트워킹의 시대다. 물론 과거에도 그랬지만 점점 더 무엇을 아느냐보다 누구를 아느냐가 더 중요해지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누구를 안다는 말은 지연 학연 등을 이야기 하는게 아니다. 그런 구태의연한…
질문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질문은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독서를 하기 전 먼저 질문을 하면서 이 책을 통해 무엇을 기대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SQ4R 이라는 효과적인…
우리는 뭔가 잘못을 했을 때 미안하다고 말해야 한다. 미안하다는 뜻은 남에게 대하여 마음이 편치 못하고 부끄럽거나 겸손하게 양해를 구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겸손한 사람은 미안하다는 말을 자주 한다. 그런데 겸손함이…
독불장군은 없다. 하지만 인간은 어떤 계기로 깨달음에 이르기까지 혼자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착각에 사로잡혀 산다. 혼자가 아니라 연결하면 성장하고 더 많은 유익이 있음을 모르는 것이다. 아지트 문화갤러리 양한모…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무총장은 이번 코로나19가 100년 만에 한번 나올 정도의 위기라고 발표했다. 실제로 정확하게 100년 전 1918년 스페인 독감은 1920년까지 이어졌고 전세계 사망자가 4~5천만 명에…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 질문은 대화, 강연, 상담, 코칭, 수업 등 모든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질문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정작 질문의 파워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용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성향이란 성질 또는 기질에 따른 경향을 말한다. 성격을 우리는 내향적이다 또는 외향적이다로 구분한다. 그런데 독서는 이런 성향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차분하면 내향적이라고 하고 덤벙대면 외향적이라고 하는데 독서하는 스타일을 보면 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