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디지털 문명을 가로막는 장애물

디지털 문명의 전환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크나큰 흐름이다. 인공지능을 앞세운 4차 산업혁명도 결국 디지털 문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디지털 문명의 대전환을 부쩍 앞당기고 있다. 언젠가는…

거친 독서로 내공을 쌓는다

건강하려면 거친 음식을 먹어야 한다. 거친 음식이란 자연에서 자란 채소와 산나물, 현미, 호밀 등의 잡곡류 같은 입자가 거칠고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말한다. 어린아이가 갓 태어나서는 부드러운 음식을 먹지만 점점 자라면서…

유연한 잣대를 가져라

잣대란 자로 쓰는 대막대기나 나무 막대기 따위를 이르는 말로 어떤 현상이나 문제를 판단하는 데 의거하는 기준을 비유적으로 하는 말이다. 같은 경우를 만나도 사람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평가하는 잣대가 다르다.…

미래는 우리 손에 달렸다

갈수록 미래를 예측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특히 코로나19가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지금 어느 누가 앞날을 제대로 예측할 수 있을까? 쉽지 않을 것이다. 불과 7개월 전에 이런 코로나 바이러스 팬더믹을 내다보지 못했던…

이야기의 출발점은 사람

매스 미디어 시대는 저물어가고 1인 미디어 시대가 활짝 열렸다. 최근 필자의 주변에도 1인 방송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만으로도 1인 방송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1인 방송을 하는 사람들이 모두 성공하는…

독서는 좋은 인풋이다

1980년 초 필자는 첫 직장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일을 시작했다. 사용하던 컴퓨터는 일본 후지쯔였고 랭귀지는 COBOL이었다. 맨 먼저 시작한 일은 철강 회사 생산관리를 위한 보고서를 컴퓨터로 작성하는 일이었다. 보고서는 아웃풋(output)이다. 회사의…

질문은 최상의 교육이다

질문이란 알고자 하는 바를 얻기 위해 묻는 것이라고 하지만 그보다 훨씬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건 바로 동기 부여다. 질문으로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질문이 중요하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생각을 축적하는 글쓰기

생각은 판단하고 기억하고 호기심을 갖는 것이다. 생각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말도 눈에 보이지 않는다. 아무리 많은 생각을 하고 많은 말을 하더라도 글로 써놓지 않으면 쉽게 날아가 버린다. 현대인은 정말 복잡한…

교육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경제 용어는 통화량이 팽창하여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계속적으로 올라 일반 대중의 실질적 소득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교육에도 인플레이션이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 인플레이션이 아주 심하게 높아 경제 인플레이션을…

시장은 결코 기다려주지 않는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시장을 이기는 자는 아무도 없다. 시장은 언제나 묵묵히 그리고 끊임없이 변한다. 심지어 동토의 왕국이라 불리우는 북한에서도 장마당을 빼고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지 않는가. 코로나 바이러스가 6개월 이상…

치열한 독서로 지식노동자가 되라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Jason Schenker)는 최근 그의 저서 <코로나 이후의 세계>에서 노동자들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언급하고 있다. 지식노동자는 원격근무에 적합한 직업이다. 이제는 정보화 시대를 넘어 바야흐로 본격적인 지식 기반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재택근무가 몰고 올 파장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재택근무 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이 부쩍 늘고 있다. 반드시 직원들의 얼굴을 보고 업무를 지시하고 감독하는 기존의 오래된 관행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1980년 초 직장생활을 시작했던 필자는 넓다란 사무실에 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