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독서 하기를 왜 주저할까

사람들이 왜 독서 하기를 주저할까요? 독서하면 좋다는 것쯤은 누구나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평소에 독서 생활을 꾸준히 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좋은 줄 알면서도 하지 않는 이유가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코로나19 시대, 리셋이 필요한 이유

리셋(reset)이란 컴퓨터 용어에서 출발했는데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구 전체나 일부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일을 말합니다. 마인드 리셋은 마음가짐을 과거에 묵은 모든 것에서 일시에 걷어내고 새롭게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코로나19로…

지금은 디지털 학습 시대

코로나19가 바꿔버린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바로 온라인 학습입니다. 교육의 디지털화는 고등 교육의 많은 불평등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류는 교육이라면 당연시 해 오던 오프라인 교육 방식이 온라인 디지털 학습을…

왜 독서를 해야 할까요?

다시 새해가 밝았습니다. 뭔가 다시 할 수 있다는 사실 만으로도 우리는 행복을 느낍니다. 지난해는 우리 모두에게 리셋(reset)이 뭔가 알게 된 한 해 였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많이 힘이 들었지만 그래도 자신을…

조직 유연성 키워 줄 ‘리버스 멘토링’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이란 일명 역(逆) 멘토링이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기업 내에서 사원이 멘토가 되고 경영자가 멘티가 되는 방식인데 주로 조직의 유연성을 키우기 위해 도입하는 새로운 방식입니다. 이렇게 서로의 역할을 바꾸면서 세대간의…

뉴노멀이 된 재택근무

코로나19로 인해 흩어지면 살고 뭉치면 죽는다는 말이 생겼습니다. 기업이 앞다투어 직원들에게 원격근무를 하도록 강요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 현실화 되면 원격근무와 재택근무가 일상화 되리라고 예상했지만 바이러스 팬데믹은 이를 훨씬 앞당겨버렸습니다. 트위터의…

변화된 세상, 나만의 길을 찾기

코로나19의 여파로 대학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난 한 해 동안 모든 대학의 강의가 비대면 또는 화상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대학 무용론이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구글이나…

모방의 기술

모방(模倣)이란 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는 것입니다. 플라톤은 인간의 놀이를 미메시스(mimesis)로 설명했는데 미메시스는 서양 철학의 개념이며 직역하면 모방입니다. 이것은 무언가를 비슷하게 만들거나 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방은 창의성의 출발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허물을 보고 사람을 판단하지 마라

세종대왕이 과거시험에서 스스로 인재를 구해 쓰는 법을 제목으로 문제를 냈다고 합니다. 장원으로 뽑힌 강희맹의 답안에서 세종의 인재 활용에 대한 원칙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한 시대가 부흥하는 것은 반드시 그 시대에…

정리의 힘을 키우는 독서

정리란 흐트러지거나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는 것을 한데 모으거나 치워서 질서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종합하거나 불필요한 것을 줄이거나 없애서 말끔하게 바로 잡는 것도 정리에 해당합니다.…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을 구별하라

차를 운전할 때 목적지가 없으면 우왕좌왕 하게 됩니다. 신은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하루 24시간을 공평하게 주었습니다. 목표가 있는 사람은 중요한 것과 사소한 것을 구별할 줄 압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매순간 이것을 두부…

내재가치를 찾고 유지하라

내재가치를 다른 말로 본질가치라고 합니다. 내재가치란 지금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산, 지위, 기술, 인적 네트워크 등을 말합니다. 김경록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대표 겸 미래에셋은퇴연구소장은 최근 그의 유튜브 투자살롱을 통해 내재가치를 젊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