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상

정은상

[챗GPT] 창직 챗봇

챗GPT에게 내가 만든 창직 챗봇의 SWOT를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포인트를 알려달라고 했더니 아래와 같이 친절하게 답변해 주었어요…어메이징 챗GPT ========== 창직 GPT의 SWOT 분석과 개선 포인트 SWOT 분석 Strengths (강점) 1. 철학적 기반: “평생 직업을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는 철학은 차별화된…

[독서] 로마인 이야기 1

다시 읽어보는 시오노 나나미 지음 <로마인 이야기 1>. 1995년 한길사에서 1쇄를 찍고 지난해 말 121쇄를 찍었다. 안계환 작가의 월요문명사 줌 강의를 3년 이어 들었더니 인명 지명 신명이 이제 제법 눈에 익숙해졌다. 아는 만큼 보인다. 1,000년을 이어간 로마인 이야기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웃음충전소] 스님들의 축구시합

무더운 여름날, 스님들끼리 축구 시합을 했다. 헤딩을 한다고 뛰어올랐는데, 햇빛에 반사된 빛이 눈부셔 스님들끼리 머리를 부딪히기 일쑤였다. 전반전이 끝나고 잠시 쉬기 위해 그늘로 몰려들었다. 마태스님이 이마에 피를 닦으며 투덜거린다. “우쒸, 도울스님은 머리가 돌이야 돌. 다음부터 축구할 때는 가발이라도 써야지.” 그러자…

[추천도서] 나는 AI와 공부한다

[책 소개]“교육계에 닥친 위기를 타파할 가장 현실적인 제언.”앞서가는 교육 사상가 살만 칸이 말하는 AI 시대의 교육 요즘 모든 산업 트렌드의 핵심은 인공지능(AI)이다. 교육계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5년 3월부터 초등 3, 4학년, 중1, 고1을 대상으로 영어, 수학, 정보 과목에서부터 단계적으로 AI…

공감이 평가보다 나은 이유

우리는 일상에서 종종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한 선택이나 동료의 행동을 보고 ‘잘했다’ 혹은 ‘잘못했다’라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태도는 상대방을 불편하게 하고 관계를 어색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평가 대신 공감을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