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기 위해 읽는다면 이해가 가지만 읽기 위해 쓰라면 말이 되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반드시 써야 한다. 많이 써 보아야 한다. 보통 읽는 것은 비교적 쉽다고 하지만 글을 쓰는 것은 어려워한다. 왜 글쓰기가 어려울까? 읽기에 비해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교육 시스템은 열심히 받아쓰기는 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녹여 쓰게 하지는 않는다. 중학생들을 지도하면서 독서량을 물어보면 꽤 많은 학생들이 손을 들고 독서를 많이 한다고 대답한다. 그런데 막상 글쓰기를 시켜보면 너무 형편없다. 독서는 자주 하지만 글쓰기는 거의 하지 않으니 어찌 보면 당연하다. 한글을 배우는 시기부터 읽기와 함께 글쓰기를 집중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그래야 성인이 되어서도 두려움 없이 글을 쓸 수 있다.
에세이essay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글이다. 초등학교부터 에세이를 많이 그리고 자주 쓰게 해야 한다. 에세이를 쓰게 하고 여러 학생들 앞에서 발표하게 하는 것이 좋다. 평가는 하지 말고 스스로 자신의 에세이를 다른 학생들의 리액션을 통해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 전원에게 자유학년제를 시작한다. 자유학년제는 1년 동안 시험을 치르지 않고 자유롭게 여러 경험을 쌓게 하자는 취지이다. 그래서 자유학년제에서 에세이 쓰기는 아주 적합하고 필요한 시도이다. 필자는 3년 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에세이 쓰기를 지도해 왔다. 학기를 마친 후 피드백을 받아보면 대부분 학생들의 표현력이 좋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부터 에세이를 쓰게 하고 그것을 평가하려고 시도하면 실패한다. 맞춤법이든 표현방법이든 무엇이든 맞든지 틀리든지 스스로 깨닫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서울시 50플러스에서 진행 중인 1인 창직 과정에서 성인들에게도 에세이 쓰기는 동일하게 시도하고 있다. 대부분 1인창직 과정에서 강의를 듣기 위해 수강 신청을 했는데 에세이를 쓰라고 하니 처음에는 어리둥절 하곤 한다. 하지만 과정을 마칠 때 쯤이면 이구동성으로 에세이를 쓰고 다시금 독서를 하게 해줘서 필자에게 고맙다고 한다. 필자가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이 아니라 에세이를 쓰고 서로 나누는 과정을 통해 필자도 그들로부터 많이 배운다. 그래서 해를 거듭할수록 그 과정이 더욱 레벨업 되고 있다.
읽기와 쓰기는 습관이다. 머리가 나빠서 쓰지 못한다고 생각하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콘텐츠가 없고 스토리텔링 능력이 부족해서 쓰지 못한다고 하는 말도 거짓말이다. 읽지 않으면 쓰기 힘들다. 읽고 쓰고 또 쓰고 읽기는 함께 가야한다. 서로 뗄레야 뗄 수 없는 상관 관계를 갖고 있다. 유명 작가가 되기 위해 읽고 쓰라는 말이 아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내고 퍼스널 브랜딩을 위해 우리 모두는 읽고 써야 한다. 잘 쓰고 못 쓰고는 나중에 자연스럽게 스스로 깨닫게 된다. 그때까지는 부지런히 읽고 쓰기를 지속해야 한다.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 지금 쓴 맛을 느끼지 못하면 나중에 달콤함도 없다. 쓰기 위해 읽고 또 읽기 위해 써라. 쓰고 또 쓰면 글이 남고 책으로 남게 되고 강연으로 연결된다. 읽기 위해 써야 한다.
출처: 한국독서교육신문 http://reading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