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청년이 없는 나라

[책 소개]
“한국의 인구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서울대 문명사학자 김태유 교수가 제안하는 초저출산 시대의 생존 전략

전 세계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은 영상이 하나 있다. 독일의 과학 콘텐츠 채널 쿠르즈게작트(Kurzgesagt)가 공개한 ‘한국은 망했다(South Korea is over)’라는 영상이다. 영상은 출산율 0.7명이라는 충격적 수치를 근거로, 2050년경이면 한국 사회는 고령층 중심으로 재편되고, 지금까지 축적해온 산업과 문화 자산이 사실상 유지될 수 없을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제시한다. 해당 영상은 공개 한 달 만에 1,200만 조회수를 돌파하며, 국내외에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우리는 이 상황을 그냥 바라보면서 겪어야 하는 걸까? 이 물음에 답하는 책 《청년이 없는 나라》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서울대 문명사학자 김태유 교수가 2013년에 발간한 《은퇴가 없는 나라》를 2025년의 상황에 맞게 발전시킨 책으로, 한국형 초저출산의 근본 원인과 그동안의 잘못된 정책 그리고 해결방법을 제언한다. 평생 국가발전 원리를 연구해온 김태유 교수는 이 책에서 대한민국이 역사상 가장 큰 위기와 문명사적 기회가 동시에 찾아오고 있다고 진단한다. 저가 던지는 질문은 간단하면서도 근본적이다. “정말 이대로 무너질 수밖에 없는가?”

청년이 사라지는 사회에 미래는 없다. 《청년이 없는 나라》는 단지 출산 장려가 아니라, 대한민국이라는 사회의 지속 가능한 생존 전략을 담은 지침서로서, 정치권, 언론, 교육계, 정책 설계자, 그리고 미래를 걱정하는 모든 시민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